''23.2월 美연준 FOMC' 미국 금리, 전세계 금리정책의 변곡점이 될 수 있을까? (ft. 경기선행지수)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위해 항상 공부하는 야마개돔입니다.
오늘은 미국 금리 얘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미국 현지시간 1/31~2/1일 이틀간 FOMC가 열리고 기준금리가 결정될 예정입니다.
22년 한 해에만 4% 포인트가 넘는 기준금리를 인상시켰는데요,
새해 첫 FOMC에서는 속도조절이 계속될지, 긴축에 대한 연준 View가 달라질지 등
전세계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직전 FOMC 및 한국은행 금리정책
우선 직전 FOMC를 살펴보면,
미국 현지시간 2022.12.13 ~ 2022.12.14일 FOMC에 의해
미국 기준금리가 0.50% p 인상된 바 있습니다.
[기존: 3.75%~4.00% → 인상 후 : 4.25%~4.50%]
당시 美연준은
'두 달간 물가 상승세가 둔화되었던 것은 맞다, 하지만 확실한 증거가 보이기 전까지 금리인하를 고려하지 않을것' 이라고 밝히며, 물가 목표치 2%를 고수하겠다고 분명히 했습니다.

한국은행도 올해 13일 0.25%p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미국의 금리정책과 같은 행보를 보였습니다.
7번 연속 금리를 올려 결국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14년만에 기준금리 3.5%에 도달히였죠.
한국은행 총재 역시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소 진정되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금리 정책의 Pivoting은 시기상조라고 밝혔습니다.
('22.12월 FOMC 와 '23년 1월 한은 금리인상의 상세내용은 직전 포스팅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한국 7연속 금리인상과 미국 12월 CPI 발표, 주가에 미칠 영향은? feat. 개인적 의견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야마개돔입니다. 정말 정신없는 1월 초를 보냈습니다. 회사는 사옥을 이전했고, 업무는 연 결산 등으로 엄청나게 바쁜 하루하루였습니다. 그 핑계로 새
self-motivate.tistory.com
https://self-motivate.tistory.com/22
'미국 기준금리 인상 발표' 한-미 금리차 1.25%p 차이, '23년 금리 전망 (+개인적 의견)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야마개돔입니다. 미국 현지시간으로 12/13-14일, FOMC 회의 결과로 미국 기준금리가 50bp 인상되었습니다. [기존: 3.75%~4.00% → 인상 후 : 4.25%~4.50%] 오늘은 조금 늦은
self-motivate.tistory.com
'23.2월 FOMC 관전포인트

1. 금리 0.25%p 인상 vs 0.50%p 인상
직전 회의에서 0.50%p 인상 '빅스텝'을 밟았었는데,
연이은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 현상과 최근 생산활동이 위축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추가로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회의에는 '베이비스텝 0.25%p 인상'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23.1월 연준 부의장 및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다소 매파적인 발언을 했던 것을 감안하면,
이번 회의에서도 최소 0.25%p 이상의 금리인상이 예상됩니다.
- 레니얼 브레이너드 부의장 : 인플레이션 목표치 2%를 위해 제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해야한다.
-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 : 5% 수준까지 금리 인상이 필요하고, 그 이후에도 한동안금리수준을 유지해야한다.
2. 금리 정책 전환 (Pivoting)
현재 금융시장이 기대하는 FOMC 결과는
'2월 0.25%p 인상, 3월 0.25%p 인상 or 동결, 6월 동결 + 긴축 종료'일 것입니다.
'금리인상 중단을 시사할 것인지' '그에 대한 힌트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해
다시 한번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캐나다 중앙은행(BOC)는 이미 지난주 0.25%p 를 인상하며,
당분간 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할 것을 밝혔습니다.
연준 FOMC 직후 유럽중앙은행(ECB)와 영국은행(BOE)가 금리를 결정하게 되는데,
급격한 금리인상이 가져온 경제부담으로 글로벌 금리인상 기조가 오래 지속되진 못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경기선행지수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22.12월 미국 경기선행지수는 전월비 1.0% 하락하며, 10개월 연속 하락하며 경기침체 우려를 키웠습니다.
과거 경기선행지수가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면 긴축 정책을 멈춰왔는데,
이번 경기선행지수 하락폭이 급격한 내림세를 보이고 있기에 '긴축의 종료'가 곧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것으로 '23.2월 FOMC 전망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2월 2일 FOMC 결과에 대해 다시 한번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