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향해 공부하는 야마개돔입니다.
오늘 제가 관심있게 보고 있는 기업이 Offering 공시를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Direct Offering, Public Offering이 아닌,
"Mixed Shelf Offering"을 공시하였는데요.
Shelf Offering이 도대체 뭘까 궁금해서 직접 찾아보고 공부해봤습니다.
국내 주식시장에서 통용되지 않는 자금조달 방식이라 그런지 자료가 잘 없더라구요.
영문자료 구글링 후 해석, 공부한 내용 공유합니다!

Shelf Offering
굳이 '선반 증자'와 같이 억지로 번역하지 않고, Shelf Offering이라고 칭하겠습니다.
(매칭 가능한 한글 용어가 없는 것 같습니다.)
'A shelf offering allows an equity issuer to register
a new issue of securities without having to sell the entire issue at once.'
Shelf offering의 가장 큰 특징은
한 번에 주식을 발행하여 시장에 팔지 않아도 된다는 점입니다.
'The issuer can sell portions of the issue over a three-year period
without re-registering the security.'
한번에 발행해서 파는게 아니고, 원하는 비율만큼 3년에 걸쳐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Shelf registration 이라고도 불리며, SEC Rule 415에 의해 규정됩니다.
Shelf Offering 이점
Shelf Offering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할 경우,
Issuing company가 가격을 통제할 힘이 생깁니다.
3년 중 원하는 시점에 매도할 수 있기 때문, 매도할 시점, 즉 Supply 공급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번 등록할 경우,
신주를 발행할 때마다 재등록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SEC 관련 등록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반적인 관리 비용이 들지 않겠죠.
테슬라('21년), 루시드('22.8월), SOFI('22.7월) 등의 기업이
Shelf Offering 방식으로 조달을 했었는데요,
미국에서는 종종 볼 수 있는 증자 방식인 것 같습니다.
결국 Shelf Offering은 원하는 시점에 주식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수단이고,
대부분 기업의 운전자금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신규 투자나 M&A 등 일시에 자금이 필요한 경우, Shelf Offering을 하진 않을테니까요.
Shelf offering 의 개념은 INVESTOPEDIA에 게시된 내용을 주로 인용하였습니다.
링크 걸어드리니, 전문이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다음 링크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오늘도 제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께 성공투자하시길 기원합니다!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글] 금융투자교육원 레버리지 ETF, ETN 교육 수강하기 (회원가입부터 수료, 수료정보 등록까지 Step by Step) (12) | 2023.01.20 |
---|---|
레버리지 ETP, ETF, ETN이란? (레버리지 ETP 사전 의무교육 내용 요약, 레버리지 복리효과)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