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야마개돔입니다.
지난달, 와이프에게 '연금저축펀드' 계좌 개설해두라고 권유를 하였는데 '뭐가 좋은건데?'라는 질문을 하더군요.
그런데, 막상 설명하려니 어디서부터 어떻게 설명할지 횡설수설하다 중간에 막혀버렸습니다.
'세액공제', '연금소득세' 등의 장점 때문에 21년도부터 일정금액을 '연금저축펀드'에 넣었는데,
개인연금은 무엇이고 종류는 무엇이며, 왜 필요한지 등 근본적인 부분을 깊게 고민을 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 와이프 '개돔댁'을 설득하기 위해, 공부한 내용을 포스팅 합니다.
개인연금이란?

우리나라 연금체계는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들과 같이 '3층 체계'로 구축되어있습니다.
다만 주요 선진국들은 오래전부터 시스템화 되어있었던 반면, 우리나라는 고령화에 따른 연금 고갈이슈가 제기되기 시작하면서 '개인연금'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습니다.
개인연금은 '개인의 의사'에 의해 가입하는 '사적연금'입니다.
1층 국민연금, 2층 퇴직연금만으로는 노후 생활이 불확실하니, 개인 연금을 통해 연금투자를 완성하는 것입니다.
이런 말이 있습니다.
"국민연금으로 쌀을 사고, 퇴직연금으로 반찬을 사고, 개인연금으로 편히 살 생각을 하라"
개인연금의 특징
개인연금의 활성화는 곧 '인구고령화 사회에 대한 국가의 부담 경감'입니다.
따라서, 국가는 개인의 연금 가입을 장려하고 유도하기 위해, 개인연금에 대해 세제 혜택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개인연금은 크게 '연금저축'과 '연금보험'으로 구분되고,
'연금저축'은 '연금저축펀드'와 '연금저축보험'으로 나뉩니다.
오늘 중점적으로 짚을 부분은 '연금저축펀드'이기 때문에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은행에서 가입하면 연금저축신탁, 보험사에서 가입하면 연금저축보험, 증권사에서 가입하면 '연금저축펀드'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연금저축펀드란?
연금저축펀드란, 증권사 or 자산운용사에 일정기간 돈을 납입한 후 노후에 연금 형태로 지급 받는 펀드를 말합니다.
5년 이상 납부해야 만 55세 이상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의 장점은 "세액 공제 혜택"입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소득 공제'가 아닌 '세액 공제'라는 점입니다.

연간 총 급여액에서 '소득공제'액을 차감하면 '과세년도 과세표준'이 산출됩니다.
구간별 소득세율을 적용하면 '산출세액'이 결정되는데요.
'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를 차감하게 되면 '과세년도 납부세액'이 결정됩니다.
즉, '세액공제액'만큼 세금을 돌려주는 셈입니다.
현행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한도,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 본인의 총 급여액이 6,000만원이라고 가정하면,
100만원 연금저축펀드 납입 시 13.2만원의 세액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두번째 장점은 자유롭게 납입액과 투자종목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보험사에서 운용하는 연금보험/연금보험저축과 달리 연금저축펀드는 투자자가 원하는 종목을 선택하여 투자할 수 있습니다. 특정 펀드나, 원하는 ETF를 매매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투자/적립식 매수에 적합합니다.
세번째 장점은 운용보수가 적다는 점입니다.
연금보험/연금보험저축은 '보험사에서 운용'하기 때문에 운용보수 등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연금저축펀드는 투자자가 원하는 종목을 선택, 투자하기 때문에 운용보수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장기투자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변동성이 적은 안정적 상품을 운용하는 와중에 운용보수가 클 경우 수익률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뭐든지 장단이 있는 법이겠죠?
서두에 말씀드린 것처럼,
'5년 이상 납부해야하고 만 55세 이상부터 인출'이 가능한 점은 연금이니 당연하면서도 생각보다 크게 작용합니다.
내 집마련, 자녀 계획 등 목돈이 필요한 순간에 개인연금은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세액공제 혜택이 좋다고 해서 무리한 수준으로 납입하였다간 향후 '중도해지'라는 최악의 수를 두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개인적 의견]
연금저축펀드는 '세액공제' 가능한 투자상품으로 보여집니다.
적정 수준 납입은 '연말 정산', '장기투자/적립식매수', '노후대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합니다.
저는 회사에서 퇴직연금을 지원해주고 있어, 개인연금은 월 10만원 수준으로 납입하고 있고,
투자 포트폴리오 다변화 목적으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럼 저는 개돔댁을 다시 설득하러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돔네 연금저축 투자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ETF 투자일기 5pg] '23.1월 결산 (위험자산 선호에 따른 지수 상승, 증시 바닥론?) (16) | 2023.02.04 |
---|---|
[연금저축ETF 투자일기 4pg] '23.1월 중간결산 (연초 랠리에 따른 수익률 상승) (1) | 2023.01.15 |
[연금저축ETF 투자일기 3pg] '22.12월 결산 (0) | 2023.01.02 |
[연금저축ETF 투자일기 2pg] 22.12월 중간결산 (2) | 2022.12.19 |
[연금저축ETF 투자일기 1pg] 30년 장기투자를 목표로! 시작 (0) | 2022.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