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개발이야기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 차트의 기본 '봉차트'(캔들 차트) - 봉차트 해석하기 (몸통/꼬리 길이의 의미, 색깔의 의미, 추세전환 시그널)

728x90

 


연속된 '양봉', '음봉'을 형성할 경우

 

시가에 비해 종가가 높을 경우,

몸통을 붉은색으로 칠하고 이를 '양봉'이라고 칭합니다.

그 날 가격 흐름이 '상승세'였다는 것을 내포하는데요,

그럼 '양봉'이 며칠 간 계속된다면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

 

'상승세'의 흐름이 며칠 간 계속되었다는 의미,

 강력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겁니다.

 

반대로, '음봉'이 며칠 간 이어지면 '강한 하락세'를 의미하겠죠.

 

그러면 이 현상들만 놓고 '매매 의사결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은 '양봉'이 계속될 경우, 매수를 하실건가요? 매도를 하실건가요?

 

과거 포스팅에서 '관성의 법칙'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한번 만들어진 추세는 계속 그 방향을 이어나가려고 합니다.

 

따라서 상승 추세일 경우,

즉각 매도하거나 주가가 하락하기까지 기다리기보다는

'매수'하는 것이 좋은 전략입니다.

상승세가 더 이어질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계좌잔고의 '빨간 불(수익)'을 못참는 경향을 조금은 내려놔야합니다.

성급하게 매도하기보다는 '하락 시그널'이 보일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습니다.

 

반대로 '음봉'이 계속되는 경우에도 '매수'보다는 '매도'가 확률 높은 선택입니다.

하락세가 이어질 확률이 높기 때문에 섣부른 '매수'는 더 큰 손해로 이어집니다.

 

삼성전자 일봉차트 [출처 : 네이버 증권]

 


몸통, 꼬리의 길이가 가진 의미

 

이번엔 색깔을 넘어, 몸통과 꼬리로 가보겠습니다.

'몸통'은 시가와 종가로 만들어집니다.

 

몸통이 길 경우, 시가와 종가가 크게 벌어졌다는 의미가 될 것입니다.

양봉차트의 몸통이 길 경우, 그날 매수 여력이 크게 작용하여 가격이 크게 올랐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몸통이 짧을 경우 매수세와 매도세가 양립하였지만,

매수세가 조금 더 강해 가격이 조금이라도 올랐다는 것을 내포하겠죠.

 

한단계 더 깊게 들어가보겠습니다.

 

그럼 몸통이 길 경우, 다음날 시장은 어떻게 될까요?

'매수세' 혹은 '매도세'가 아주 강했다는 의미이므로 다음날까지 같은 추세가 이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테슬라 일봉차트 [출처 : yahoo finance]

 

반대로 몸통이 짧을 경우, 매수 VS 매도가 박빙이였으므로 어느 한쪽의 편에 서기 힘들겠죠.

즉, 박빙의 힘대결이 이어지거나, 추세가 전환될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꼬리의 길이는 어떤 뜻을 내포할까요?

 

몸통 아래로 꼬리가 길게 그려진 경우를 생각해보겠습니다.

꼬리의 끝은 그날의 '저점'을 의미합니다.

즉, 장 중에 꽤 큰 폭의 하락이 있었으나,

주가를 다시 끌어올려 거의 다 회복된 상태로 장이 마감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겠죠.

 

'매도세'가 강한 상태로 출발한 장이

강력한 '매수세'로 인해 판도가 뒤짚어진 상태로 끝났다는 것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일봉차트 [출처 : yahoo finance]

 

반대로 몸통 아래로 꼬리가 짧게 그려진 경우는

장 중 하락이 있었고, 주가도 거의 회복하지 못한 채 장이 마감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매수세'가 '매도세'를 이기지 못한 채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가 이어졌다는 의미입니다.

 

 


요약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1. 몸통이 길다

 

- 양봉의 몸통이 길다 → 시가보다 종가가 훨씬 높게 마감 :

'매수세'가 강력했다 → 다음날도 상승세를 유지할 확률이 높다.

 

- 음봉의 몸통이 길다 → 시가보다 종가가 훨씬 낮게 마감 :

'매도세'가 강력했다 → 다음날도 하락세를 유지할 확률이 높다.

 

2. 몸통이

 

- 양봉의 몸통이 짧다 → 시가보다 종가가 조금 높게 마감 :

'매수세' VS '매도세'가 박빙이였다 → 다음날 예측하기가 힘들다 (박빙이거나 추세전환)

 

- 음봉의 몸통이 짧다 → 시가보다 종가가 조금 낮게 마감 :

'매수세' VS '매도세'가 박빙이였다 → 다음날 예측하기가 힘들다 (박빙이거나 추세전환)

 

3. 꼬리가 길다

 

- 양봉의 꼬리가 길다 → 가격이 크게 상승했다가 크게 밀려서 시가와 비슷해짐 :

'매수세'가 우위를 점하다 '매도세'가 더 강해졌다 → 다음날 '매도세'가 이어지고 하락 전환할 확률이 높다.

 

- 음봉의 꼬리가 길다 →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가 거의 회복하여 시가와 비슷해짐 :

'매도세'가 우위를 점하다 '매수세'가 더 강해졌다 → 다음날 '매수세'가 이어지고 상승 전환할 확률이 높다.

 

4. 꼬리가 짧다

 

- 양봉의 꼬리가 짧다 → 가격 고점과 종가의 차이가 적음

'매도세'의 힘이 강하지 않음 → 몸통이 길 경우 다음날도 상승이 이어질 것이고, 몸통이 짧은 경우 다음날은 보합

 

- 음봉의 꼬리가 짧다 → 가격 저점과 종가의 차이가 적음

'매수세'의 힘이 강하지 않음 → 몸통이 길 경우 다음날도 하락이 이어질 것이고, 몸통이 짧은 경우 다음날은 보합

 


1편에서는

봉차트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과

봉차트를 그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고,

 

2편에서는

봉차트가 가지는 의미와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봤습니다.

 

다음 챕터에서는 '봉 차트'의 몇가지 '패턴'에 대해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이 성공투자 하시길 기원합니다.

 

 

 

728x90